- 2025년 6월 24일기준 신고가 종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실시간 신고가 종목은 Awake 신고가 종목 텔레그램 채널 https://t.me/awake_realtimeCheck 에서 확인하세요.
- ⚡ 더욱 깊이있는 신고가 + 수급 정보를 원한다면 AWAKE 신고가 플러스를 이용해 보세요⚡
👉 https://fishy-trampoline-79b.notion.site/1d175164780f803e93abc1e53c38b42c ⚡
-----------------------------------

✅ SK하이닉스(+7.3%)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5조
시가총액 : 202.7조
- 현재가 : 278,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SK하이닉스, DRAM 강세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
- SK하이닉스는 2Q25에 영업이익 9.0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입니다.
- DRAM 부문에서 21% 성장 예상되며, HBM3e 12hi 판매 확대가 수익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NAND 부문은 원가 절감으로 예상보다 나은 52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1Q25 매출액 17.6조원, 영업이익 7.4조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초과했습니다.
- DRAM은 고용량 Server DRAM 수요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됐고, NAND는 소비자 중심 비수기에도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 SK하이닉스는 향후 기술 가치와 수익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유안타증권/iM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52%
유보율 : 2,114%
PBR : 1.62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202,589억/ 86,912억/ 72,404억(E)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82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54,68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879억
- 투신 : +31억
- 은행 : +4억
- 기타금융 : -41억
- 사모 : -50억
- 보험 : -204억
- 연기금 : -205억
- 금융투자 : -413억
📌 외국인 : +1,747억

✅ HD현대중공업(+6.9%)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2,415억
시가총액 : 41.1조
- 현재가 : 463,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상승하는 HD현대중공업, 실적 서프라이즈의 이유는?
- HD현대중공업은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4,337억원으로 기대치를 크게 초과했습니다.
- 생산성 향상 덕분에 가동시간이 전년 대비 13% 증가해 실적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 2분기에도 가동시간이 더 늘어나 영업이익 6,500억원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신규 수주도 51.5억 달러로 목표치 41.5%를 달성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 목표 주가는 450,000원으로 상향 조정됐으며, 생산성 향상이 이익 개선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 개선과 조기 인도가 수익성 향상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iM증권/SK증권/교보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260%
유보율 : 1,015%
PBR : 4.27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40,872억/ 4,535억/ 2,807억(E)
2025.1Q 38,225억/ 4,337억/ 2,842억
2024.4Q 40,056억/ 2,822억/ 3,666억
2024.3Q 36,092억/ 2,061억/ 722억
2024.2Q 38,840억/ 1,956억/ 1,956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1억
- 투신 : +61억
- 연기금 : +27억
- 금융투자 : +19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26억
- 사모 : -111억
📌 외국인 : +792억

✅ 카카오(+4.1%)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8,368억
시가총액 : 31.1조
- 현재가 : 70,4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카카오, 광고 역성장 속 AI와 커머스로 하반기 성장 기대]
- 카카오 1Q25 매출은 1조 8,637억원, 영업이익은 1,054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충족했습니다.
- 광고 부문은 비즈니스 메시지가 YoY 11% 성장했지만, DA 광고는 YoY 4% 감소했습니다.
- 커머스 부문은 직매입 비중 증가로 YoY 12% 성장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습니다.
- 게임 매출은 YoY 40% 감소하며 부진했지만, 비용 효율화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습니다.
- 하반기에는 카카오톡의 개편과 AI 서비스를 통해 광고 부진을 극복할 가능성이 큽니다.
- 향후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개편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출처 : 유진투자증권/교보증권/키움증권/IBK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0%
유보율 : 24,753%
PBR : 1.65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9,503억/ 1,266억/ 1,184억(E)
2025.1Q 18,637억/ 1,054억/ 2,003억
2024.4Q 19,570억/ 754억/ -3,952억
2024.3Q 19,214억/ 1,305억/ 785억
2024.2Q 20,049억/ 1,340억/ 1,340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519억
- 사모 : +291억
- 연기금 : +210억
- 금융투자 : +23억
- 기타금융 : +5억
- 은행 : +3억
- 보험 : -4억
- 투신 : -10억
📌 외국인 : +179억

✅ 신한지주(+1.5%)
❗️ 역사적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990억
시가총액 : 30.2조
- 현재가 : 61,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1분기 실적, 주주환원과 자본관리 강화의 중요성
- 신한지주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 4,883억원으로 전년 대비 12.6% 증가하며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모두 양호한 수준을 기록, 안정적 실적을 지속했습니다.
- CET1 비율은 13.27%로 전분기 대비 상승, 자본 관리가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 주주환원율 목표를 42% 이상으로 설정하며,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한 가치 제고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 현재 주가는 경쟁사 대비 할인된 상태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 투자 매력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SK증권/하나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157%
유보율 : 1,916%
PBR : 0.4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19,492억/ 13,961억(E)
2025.1Q 98,148억/ 19,442억/ 15,170억
2024.4Q 122,118억/ 6,680억/ 4,339억
2024.3Q 100,129억/ 18,699억/ 13,254억
2024.2Q 101,345억/ 18,525억/ 18,52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16억
- 금융투자 : +156억
- 사모 : +6억
- 기타금융 : +3억
- 은행 : 0억
- 투신 : -2억
- 보험 : -21억
- 연기금 : -25억
📌 외국인 : +304억

✅ HD한국조선해양(+4.4%)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122억
시가총액 : 27.7조
- 현재가 : 392,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조선업의 새로운 도약: HD한국조선해양의 상승 가능성
- 주요 상장 조선사 주가는 연초 대비 71% 상승,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지만 HD한국조선해양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HD한국조선해양은 보유 자회사들의 지분 가치 상승 덕분에 추가 상승 여력이 크며, 목표주가는 46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배당 수익도 기대되는데, 2025년 1분기 배당수익은 약 4180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 2025년 4월 조선 3사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으며, 향후 이익 개선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았고, 특히 HD현대삼호의 실적은 외국인 근로자 숙련도 향상과 환율 상승 덕분에 괄목할만한 수준이었습니다.
(출처 : 삼성증권/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72%
유보율 : 5,035%
PBR : 1.25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73,079억/ 8,878억/ 7,608억(E)
2025.1Q 67,717억/ 8,592억/ 6,116억
2024.4Q 71,617억/ 4,991억/ 7,271억
2024.3Q 62,458억/ 3,984억/ 1,764억
2024.2Q 66,155억/ 3,765억/ 3,76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억
- 금융투자 : +25억
- 투신 : +13억
- 사모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1억
- 보험 : -4억
- 연기금 : -27억
📌 외국인 : +217억

✅ SK스퀘어(+10.6%)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552억
시가총액 : 24.0조
- 현재가 : 181,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SK스퀘어의 주주친화적 자사주 매입과 가치 상승 기대
- SK스퀘어는 자사주를 매입 후 즉시 소각해 주주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 할인율을 60% 적용한 목표주가는 13만 원에서 14만 원까지 상향 가능성이 있습니다.
- 2025년 상반기까지 1,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이 진행 중입니다.
-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로 SK스퀘어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 SK쉴더스 매각 대금 4,500억 원이 올해 하반기에 입금될 예정입니다.
- 이를 통해 추가적인 주주환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SK증권/대신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0%
유보율 : 80,205%
PBR : 0.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8,916억/ 12,721억/ 11,150억(E)
2025.1Q 20,876억/ 16,523억/ 16,123억
2024.4Q 23,014억/ 16,520억/ 14,592억
2024.3Q 16,582억/ 11,620억/ 11,292억
2024.2Q 4,686억/ 7,748억/ 7,748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17억
- 금융투자 : +70억
- 투신 : +52억
- 사모 : +18억
- 보험 : +15억
- 은행 : +1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41억
📌 외국인 : -182억

✅ 하나금융지주(+3.1%)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705억
시가총액 : 23.4조
- 현재가 : 82,3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하나금융지주, 환율 회복과 실적 상승으로 투자 매력 급상승
- 하나금융지주는 환율 민감도가 높아 환율 하락 시 비화폐성 환차익과 CET1 비율 개선이 기대됩니다.
-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조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은행 원화 대출 성장과 NIM 상승으로 순이자이익이 증가하며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 비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수수료 이익은 증가, 판관비는 예상보다 적어 전체 비용 관리가 양호한 편입니다.
- 대손비용률은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하며, 향후 주가 상승 및 투자 매력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 FY25F 총주주환원율은 약 42%로 예상되며, 현재 주가는 경쟁 은행 대비 가격 매력도가 높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하나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353%
유보율 : 2,887%
PBR : 0.38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13,855억/ 10,650억(E)
2025.1Q 169,221억/ 14,889억/ 11,384억
2024.4Q 284,856억/ 6,016억/ 5,211억
2024.3Q 109,773억/ 13,314억/ 11,603억
2024.2Q 197,131억/ 13,591억/ 13,591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8억
- 금융투자 : +68억
- 기타금융 : -1억
- 은행 : -1억
- 보험 : -18억
- 투신 : -22억
- 연기금 : -32억
- 사모 : -40억
📌 외국인 : +76억

✅ 한국전력(+20.7%)
❗️ 52주 신고가 돌파
거래대금 : 6,413억
시가총액 : 21.9조
- 현재가 : 34,1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전기요금 인하 우려? 오히려 기회! 한국전력의 실적과 미래 전망
- 한국전력 주가는 전기요금 인하 우려로 하락했지만, 이는 과도한 반응으로 판단됩니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전기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으며, 실제 인하 가능성은 낮습니다.
- 2023년 1분기 매출은 24.2조 원, 영업이익은 3.75조 원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 원전 발전 비중 증가와 연료비 하락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으며, 1분기 순이익도 크게 올랐습니다.
- 전반적인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배당 확대의 근거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 향후 원자재 가격 하락이나 환율 강세가 추가적인 실적 개선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출처 : 한화투자증권/대신증권/미래에셋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479%
유보율 : 768%
PBR : 0.33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216,275억/ 22,924억/ 10,437억(E)
2025.1Q 242,240억/ 37,536억/ 23,617억
2024.4Q 235,291억/ 24,190억/ 10,320억
2024.3Q 261,034억/ 33,961억/ 18,796억
2024.2Q 204,737억/ 12,503억/ 12,503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522억
- 금융투자 : +273억
- 사모 : +123억
- 투신 : +122억
- 보험 : +19억
- 기타금융 : +3억
- 은행 : +0억
- 연기금 : -20억
📌 외국인 : +546억

✅ 카카오뱅크(+19.4%)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8,704억
시가총액 : 17.6조
- 현재가 : 37,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카카오뱅크, 차별화된 전략으로 은행 시장 탈바꿈
- 카카오뱅크는 1분기 투자금융자산 21.1조원, 운용수익 1,648억원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가계대출 규제 속에서 운용수익과 개인사업자 대출 확대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올해 여신 성장 계획은 11%로, 수신 증가가 운용자산에 투자될 전망입니다.
- 금리 하락에 대비해 국채 비중을 줄이고 금융채에 투자하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 2030년까지 개인사업자 대출 목표 잔액은 12조원으로, 연평균 11% 성장을 예상합니다.
- 투자자들은 차별화된 성장 전략과 운용수익 개선을 통해 긍정적 전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신증권/하나증권/한화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950%
유보율 : 173%
PBR : 1.6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1,796억/ 1,305억(E)
2025.1Q 7,846억/ 1,830억/ 1,374억
2024.4Q 7,473억/ 1,150억/ 845억
2024.3Q 7,463억/ 1,737억/ 1,242억
2024.2Q 7,341억/ 1,698억/ 1,698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31억
- 사모 : +86억
- 투신 : +33억
- 연기금 : +20억
- 보험 : +0억
- 은행 : -1억
- 기타금융 : -2억
- 금융투자 : -5억
📌 외국인 : -114억

✅ 우리금융지주(+4.0%)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570억
시가총액 : 16.5조
- 현재가 : 22,2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우리금융지주, 동양·ABL생명 인수로 비은행 부문 강화 전망
- 금융위원회는 우리금융지주의 동양생명 및 ABL생명보험 자회사 편입을 승인했습니다.
- 이번 인수로 우리금융은 비은행 부문의 강화와 주주환원 여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25% 감소했지만, 비용 관리 개선과 자본비율 상승이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 특히, 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 및 외환 부문의 적자폭이 감소하며 총영업이익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향후 비은행 부문 확장으로 이익 체력 강화가 예상되며, 주가 모멘텀 측면에서도 긍정적입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하나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399%
유보율 : 835%
PBR : 0.3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12,068억/ 8,730억(E)
2025.1Q 96,252억/ 8,693억/ 6,546억
2024.4Q 154,851억/ 6,742억/ 4,541억
2024.3Q 74,216억/ 11,770억/ 9,170억
2024.2Q 108,765억/ 12,533억/ 12,533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4억
- 금융투자 : +2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투신 : -2억
- 사모 : -10억
- 보험 : -11억
- 연기금 : -11억
📌 외국인 : +42억

✅ 기업은행(+3.7%)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264억
시가총액 : 14.4조
- 현재가 : 18,06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기업은행, 대손비용 감소와 배당 수익 상승 기대
- 기업은행의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8,086억원으로 예상보다 10.8% 높았습니다.
- 이는 대손비용 감소 덕분이며, 중소기업 대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 비이자이익은 외환 및 유가증권 관련 수익 덕분에 29.2% 증가했습니다.
- 보통주자본비율이 11.37%로 상승했지만, 단기간에 큰 개선은 어려울 전망입니다.
- 배당성향은 3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배당금 감소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정적인 대손비용 유지가 긍정적인 투자 포인트로 작용할 것입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하나증권/한화투자증권/SK증권/키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309%
유보율 : 714%
PBR : 0.33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8,893억/ 6,683억(E)
2025.1Q 72,191억/ 10,240억/ 8,142억
2024.4Q 102,205억/ 6,107억/ 4,566억
2024.3Q 54,646억/ 11,261억/ 8,036억
2024.2Q 53,481억/ 8,276억/ 8,276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8억
- 금융투자 : +37억
- 사모 : +0억
- 기타금융 : 0억
- 투신 : -1억
- 은행 : -5억
- 연기금 : -5억
- 보험 : -6억
📌 외국인 : +64억

✅ LG(+3.8%)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902억
시가총액 : 13.4조
- 현재가 : 84,9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LG 그룹, 자회사 실적 호조로 상승세 지속! 배당 수익은 주춤
- 1분기 LG의 연결 매출은 1조 9,361억원으로 전년 대비 19.2% 증가하며 영업이익도 51.0% 상승했습니다.
- LG CNS는 AI와 클라우드 사업 확대에 힘입어 매출과 이익이 각각 13%와 144% 성장하여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LG전자와 LG화학의 지분율 확대가 지분법 순익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LG디스플레이는 흑자 전환했습니다.
- 반면, 별도 매출은 배당금 감소로 전년 대비 16% 줄어들었으나 상표권 수익 증가로 연간 감소 폭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향후 LG는 자사주 소각 계획과 배당성향 확대를 통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출처 : iM증권/하나증권/유안타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2%
유보율 : 3,062%
PBR : 0.3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9,535억/ 4,342억/ -(E)
2025.1Q 19,361억/ 6,380억/ 6,085억
2024.4Q 17,835억/ -2,419억/ -3,112억
2024.3Q 19,442억/ 4,767억/ 4,429억
2024.2Q 18,240억/ 3,094억/ 3,094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09억
- 연기금 : +70억
- 투신 : +51억
- 사모 : +4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3억
- 금융투자 : -14억
📌 외국인 : -282억

✅ 하이브(+3.1%)
❗️ 52주 신고가 다시 돌파
거래대금 : 835억
시가총액 : 13.0조
- 현재가 : 312,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BTS 완전체 컴백, 하이브의 새로운 도약?
- BTS의 복귀가 하이브의 이익률을 개선할 가능성이 크다.
- 음원 매출 증가와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가 이익률 상승의 주요 요인이다.
- BTS는 하이브의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60%를 차지하며, 콘텐츠와 팬클럽 매출에서 강점을 보인다.
- 2026년 BTS 월드투어로 최소 3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 위버스의 MAU 증가와 BTS의 라이브 활용이 실적 개선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 하이브는 신인 데뷔와 글로벌 진출로 더욱 확장하며, 목표주가는 36만 원으로 상향되었다.
(출처 : iM증권/미래에셋증권/유안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54%
유보율 : 14,852%
PBR : 2.98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7,243억/ 897억/ 812억(E)
2025.1Q 5,006억/ 216억/ 544억
2024.4Q 7,264억/ 646억/ -261억
2024.3Q 5,278억/ 542억/ 14억
2024.2Q 6,405억/ 509억/ 509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2억
- 사모 : +61억
- 금융투자 : +23억
- 투신 : +4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15억
- 연기금 : -40억
📌 외국인 : +192억

✅ 두산(+7.4%)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197억
시가총액 : 11.1조
- 현재가 : 670,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두산 전자BG의 놀라운 도약, 주가 상승의 기회
- 두산 전자BG 부문은 2025년 깜짝 실적을 예고하며 목표주가가 5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전자BG의 매출액은 1조 6,755억원으로 30% 이상 증가가 예상되며 EBITDA는 119%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다양한 미국 Big Tech와의 협력으로 향후 3년간 급격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 주가 조정은 매수 기회로, 2024년 4분기 N사향 CCL 매출은 1천억원을 상회하며 시장 우려는 과대 평가되었습니다.
- 두산은 3년간 주주환원 강화 계획을 발표하며, 매년 보통주 2% 소각으로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전자BG의 24년 4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72% 증가했으며, N사향 신규 양산 매출이 실적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출처 : iM증권/대신증권/DS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57%
유보율 : 1,487%
PBR : 3.49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47,458억/ 4,699억/ 2,556억(E)
2025.1Q 42,987억/ 1,985억/ 113억
2024.4Q 51,998억/ 2,089억/ -451억
2024.3Q 38,785억/ 1,102억/ -949억
2024.2Q 45,922억/ 3,367억/ 3,367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8억
- 투신 : +20억
- 사모 : +15억
- 연기금 : +14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보험 : -4억
- 금융투자 : -26억
📌 외국인 : +244억

✅ LS ELECTRIC(+15.6%)
❗️ 역사적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2,841억
시가총액 : 9.3조
- 현재가 : 311,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전력 인프라 성장, 주가 상승 트리거 필요! 2분기부터 체질 개선 기대
- 1분기 매출액은 약 1조 원(-0.6% YoY), 영업이익은 873억 원(-6.9% YoY)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당사 추정치를 소폭 상회하였습니다.
- 전력 인프라 부문은 매출과 이익이 각각 9%, 41% 성장했으며, 수주 잔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북미 매출 비중은 24%로 증가하며, 신규 수주의 50%가 북미에서 발생, 긍정적인 지역 믹스 변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 국내 수주 지연으로 전력기기 부문은 부진했으나, 2분기에 회복이 예상됩니다.
- 자동화 부문은 수익성을 중시한 전략으로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 향후 북미 및 베트남 법인의 호실적이 외형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IBK투자증권/SK증권/키움증권/대신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47%
유보율 : 1,135%
PBR : 2.84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3,114억/ 1,213억/ 905억(E)
2025.1Q 10,321억/ 873억/ 674억
2024.4Q 13,595억/ 1,199억/ 628억
2024.3Q 10,212억/ 665억/ 351억
2024.2Q 11,324억/ 1,096억/ 1,096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5억
- 금융투자 : +55억
- 연기금 : +4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투신 : -9억
- 보험 : -13억
- 사모 : -26억
📌 외국인 : +297억

✅ 한국금융지주(+12.4%)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760억
시가총액 : 8.3조
- 현재가 : 148,4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금리 하락의 기회! 한국금융지주의 놀라운 실적 개선과 목표주가 상향
- 한국금융지주의 주요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브로커리지와 IB 부문에서 견고한 이익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4,584억원으로, 예상보다 35.4% 높은 실적을 기록했어요.
- 발행어음을 적극 활용해 채권 운용에서 큰 이익을 확보, 레버리지 활용 증가로 추가 이익 기대감이 큽니다.
- 25년 기준 PBR 0.55배로, 과거 금리 하락 시기보다 낮아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높습니다.
- IMA 인가 확보 시 추가 레버리지 활용이 가능해져 이익 모멘텀이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SK증권/유안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020%
유보율 : 3,159%
PBR : 0.43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3,598억/ 2,980억(E)
2025.1Q 53,638억/ 5,296억/ 4,593억
2024.4Q 47,385억/ 1,552억/ 1,073억
2024.3Q 63,036억/ 3,635억/ 3,145억
2024.2Q 57,555억/ 2,995억/ 2,99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62억
- 투신 : +57억
- 금융투자 : +47억
- 연기금 : +0억
- 기타금융 : -3억
- 은행 : -3억
- 사모 : -12억
- 보험 : -24억
📌 외국인 : -2억

✅ HD현대미포(+6.2%)
❗️ 역사적 신고가 다시 돌파
거래대금 : 1,234억
시가총액 : 8.0조
- 현재가 : 201,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FY25-26F 성장 기대, 목표주가 20만원 상향! HD현대미포의 놀라운 실적 개선
- FY25-26F 연간 OPM은 각각 7.1%, 9%로 FY24 대비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 1Q25 매출은 1조 1,838억원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 영업이익은 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 영업이익률은 5.8%로, QoQ 2.5%p, YoY 6.9%p 개선되었습니다.
- 고선가 MR탱커의 조기 투입과 생산성 향상 덕분에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LNG 벙커링선의 매출이 2026년부터 본격화되면서 추가적인 이익률 개선이 기대됩니다.
- 하반기에는 LPG선 비중 증가로 이익 개선 속도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출처 : iM증권/DS투자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44%
유보율 : 801%
PBR : 2.03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2,519억/ 805억/ 553억(E)
2025.1Q 11,838억/ 685억/ 517억
2024.4Q 14,228억/ 469억/ 796억
2024.3Q 10,777억/ 352억/ 26억
2024.2Q 11,291억/ 174억/ 174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228억
- 사모 : +75억
- 금융투자 : +68억
- 투신 : +47억
- 연기금 : +28억
- 보험 : +6억
- 은행 : +2억
- 기타금융 : +0억
📌 외국인 : -17억

✅ 삼성증권(+6.0%)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600억
시가총액 : 6.8조
- 현재가 : 75,8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안정적인 이익체력, 저평가된 삼성증권의 매력 포인트
- 삼성증권의 목표주가는 65,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는 실적 추정치와 무위험수익률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2025년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2,484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4.7% 상회했습니다.
- 부동산PF 관련 수수료수익 감소로 IB 부문 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10.2% 감소했으나, 향후 시장 회복에 따른 수익 증가가 기대됩니다.
-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확대가 예상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 운용손익 및 금융수지는 채권 운용손익 개선 덕분에 3,063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SK증권/유안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28%
유보율 : 1,485%
PBR : 0.5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2,991억/ 2,421억(E)
2025.1Q 32,712억/ 3,346억/ 2,484억
2024.4Q 39,051억/ 2,108억/ 1,477억
2024.3Q 27,677억/ 3,241억/ 2,403억
2024.2Q 30,712억/ 3,392억/ 3,392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93억
- 금융투자 : +69억
- 투신 : +19억
- 보험 : +5억
- 연기금 : +1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사모 : -2억
📌 외국인 : -174억

✅ NH투자증권(+6.1%)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297억
시가총액 : 6.7조
- 현재가 : 20,6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9.1% 주주환원수익률, NH투자증권의 힘찬 출발]
- NH투자증권의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2,082억 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 IB 수익이 인수금융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며 견조한 이익을 보여줬습니다.
- 브로커리지 수수료 손익은 소폭 감소했지만, 해외 주식 수수료가 전년 대비 75.7% 증가하며 안정적 수익을 보였습니다.
- 트레이딩은 보수적인 운용으로 큰 변동성 없이 무난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향후 IB 부문의 지속적인 이자이익 반영으로 견조한 실적이 예상됩니다.
- 투자 의견은 '매수'로 유지되며, 목표 주가는 18,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SK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752%
유보율 : 349%
PBR : 0.6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2,531억/ 1,921억(E)
2025.1Q 30,068억/ 2,890억/ 2,082억
2024.4Q 29,131억/ 1,672억/ 1,100억
2024.3Q 22,816억/ 1,882억/ 1,540억
2024.2Q 19,977억/ 2,688억/ 2,688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51억
- 금융투자 : +57억
- 연기금 : +13억
- 투신 : +1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3억
- 사모 : -26억
📌 외국인 : -29억

✅ 키움증권(+7.5%)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706억
시가총액 : 5.9조
- 현재가 : 236,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키움증권, 안정적 트레이딩 성과로 목표주가 상향!
- 키움증권의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2,353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7.5% 상회했습니다.
- IB 및 트레이딩 부문에서의 실적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평가됩니다.
- 특히, 채권 및 파생상품에서의 평가이익이 양호하여 안정적 수익을 기록했습니다.
- 부동산 PF 관련 수수료 증가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자본 대비 50% 수준에서 관리될 예정입니다.
- 향후 발행어음 신사업 진출에 대한 기대감으로 목표주가는 170,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다만, 저축은행 자회사의 실적 부진은 부담 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교보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969%
유보율 : 3,909%
PBR : 0.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 2,879억/ 2,346억(E)
2025.1Q 36,600억/ 3,255억/ 2,356억
2024.4Q 36,416억/ 1,802억/ 1,463억
2024.3Q 27,148억/ 2,680억/ 2,116억
2024.2Q 22,805억/ 3,123억/ 3,123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억
- 사모 : +32억
- 연기금 : +8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보험 : -8억
- 금융투자 : -8억
- 투신 : -20억
📌 외국인 : -37억

✅ 현대오토에버(+11.9%)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871억
시가총액 : 5.0조
- 현재가 : 183,7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차량SW 성장 둔화에도 불구, EIT 견조한 성장세로 주가 우상향 기대
- 1분기 매출은 8,33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3% 감소하며 수익성에서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 차량SW 매출은 고객사 수요 둔화와 계약 지연으로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전장SW 부문은 50~60% 성장하며 사업을 견인했습니다.
- Enterprise IT 부문은 그룹사의 안정적인 ERP 수요로 SI 매출이 증가하여 전체 매출 성장을 도왔습니다.
- 목표 주가는 관세 우려로 소폭 하향되었으나, 산업 특성상 주가는 계단식 성장을 통해 우상향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iM증권/미래에셋증권/SK증권/DS투자증권/대신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4%
유보율 : 12,019%
PBR : 1.94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0,252억/ 680억/ 500억(E)
2025.1Q 8,330억/ 267억/ 199억
2024.4Q 11,596억/ 727억/ 517억
2024.3Q 9,046억/ 525억/ 447억
2024.2Q 9,181억/ 685억/ 68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80억
- 사모 : +32억
- 금융투자 : +25억
- 투신 : +22억
- 보험 : +5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연기금 : -5억
📌 외국인 : +98억

✅ 서울보증보험(+3.3%)
❗️ 67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62억
시가총액 : 3.0조
- 현재가 : 42,7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지속 가능한 높은 배당수익률과 경기 회복의 기대
- 서울보증보험은 상장 후 매년 2,000억원 이상의 주주환원을 약속하며, 2024년 결산 배당으로 2,000억원을 지급해 배당성향을 100%에 근접시켰습니다.
- K-ICS비율이 규제를 크게 초과하고 해약환급금 부담이 없어 주당 2,865원의 배당금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 배당수익률은 최소 7.0%로 예상되며, 이는 최근 주가 상승에도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입니다.
- 경기 부진으로 외형 성장과 수익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경기선행지수 반등과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 이러한 경기 회복 조짐은 외형 성장률과 손해율 개선을 통해 보험손익과 당기순이익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9%
유보율 : 2,784%
PBR : 0.47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6,735억/ 273억/ 194억
2024.4Q 7,117억/ 1,105억/ 827억
2024.3Q 6,497억/ 662억/ 496억
2023.2Q 6,663억/ 1,572억/ 1,572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억
- 연기금 : +7억
- 투신 : +1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금융투자 : 0억
- 보험 : 0억
- 사모 : -4억
📌 외국인 : -8억

✅ HD현대인프라코어(+4.8%)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603억
시가총액 : 2.5조
- 현재가 : 13,18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유럽 수출 회복과 엔진 수익성으로 지켜낸 HDI의 기대 이상 수익성
- HDI는 2분기 매출 1.1조 원, 영업이익 775억 원으로 수익성 기대치를 소폭 상회했습니다.
- 유럽 수출 회복과 견조한 엔진 수익성이 높은 수익성의 주된 이유였습니다.
- 1분기에는 매출이 기대보다 12% 낮았으나,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에 부합했습니다.
- 매출은 감소했지만, 판가 인상과 프로모션 비용 축소로 수익성을 방어했습니다.
- HDI의 2025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8조 원, 2,335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 PER 8.9배, PBR 0.7배로, 투자 매력도는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키움증권/하나증권/한화투자증권/유안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36%
유보율 : 1,498%
PBR : 0.8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1,421억/ 760억/ 473억(E)
2025.1Q 10,185억/ 678억/ 399억
2024.4Q 9,389억/ -109억/ 32억
2024.3Q 9,098억/ 207억/ -254억
2024.2Q 11,082억/ 815억/ 815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8억
- 투신 : +19억
- 연기금 : +18억
- 금융투자 : +6억
- 보험 : +4억
- 사모 : +1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1억
📌 외국인 : -55억

✅ 달바글로벌(+3.8%)
❗️ 21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697억
시가총액 : 2.3조
- 현재가 : 190,2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해외 시장에서의 압도적 성장! 달바글로벌의 도약
- 달바글로벌은 2025년 해외 매출이 13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미와 일본에서 각각 215%, 210%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 북미 시장은 아마존과 틱톡샵을 중심으로 온라인 확장 중이며, 코스트코 등 대형 오프라인 채널에도 진입합니다.
- 일본에서는 큐텐, 라쿠텐 등 온라인 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샵에 입점하여 성장을 도모합니다.
- 러시아는 글로벌 기업이 적은 환경 속에서 이커머스 채널을 통해 인지도를 쌓고, CIS 지역까지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중국 시장에서는 위생 허가와 유통 구조 재정비 후 티몰과 도우인에서 1분기 900% 이상의 성장을 기록 중입니다.
- 2025년은 달바글로벌이 기반을 다진 주요 시장과 신흥 시장에서의 성과가 맞물리며 외형과 수익성이 크게 성장할 해로 기대됩니다.
(출처 : 하나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35%
유보율 : 10,539%
PBR : -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295억/ 364억/ 300억(E)
2025.1Q 1,138억/ 301억/ 247억
2024.4Q 953억/ 135억/ 130억
2024.3Q 737억/ 140억/ 96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61억
- 연기금 : +49억
- 투신 : +20억
- 보험 : +10억
- 은행 : +2억
- 금융투자 : +1억
- 사모 : -2억
- 기타금융 : -20억
📌 외국인 : +49억

✅ 카카오게임즈(+29.8%)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1,567억
시가총액 : 1.9조
- 현재가 : 23,5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신작 효과 반영, 목표 주가 상향 및 하반기 기대
- 목표 주가는 1만 5천 원에서 1만 6천 원으로 상향, 투자의견은 Outperform 유지.
- 2026년 신작 성과 반영을 고려해 목표주가 산출 연도를 2026년으로 변경.
- 1분기 매출은 1,2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 감소, 영업손실은 120억 원 기록.
- PC게임은 '배틀그라운드'와 'POE2' 덕분에 매출 증가, 반면 모바일게임은 41% 매출 감소.
- '오딘'은 4월 말 해외 출시로 매출 방어, 2분기 업데이트로 감소폭 제한적 예상.
- 3분기부터 신작 출시 예정, 마케팅비 증가 및 매출 회복 기대.
(출처 : IBK투자증권/유진투자증권/교보증권/미래에셋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18%
유보율 : 15,373%
PBR : 0.9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177억/ -119억/ -158억(E)
2025.1Q 1,229억/ -124억/ -334억
2024.4Q 485억/ 64억/ -1,095억
2024.3Q 1,939억/ 57억/ -73억
2024.2Q 2,356억/ 28억/ 28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7억
- 투신 : +29억
- 사모 : +13억
- 연기금 : +9억
- 보험 : +6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금융투자 : -11억
📌 외국인 : -46억

✅ 다우기술(+7.3%)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224억
시가총액 : 1.6조
- 현재가 : 36,05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73%
유보율 : 12,938%
PBR : 0.29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37,476억/ 3,444억/ 2,375억
2024.4Q 37,364억/ 1,951억/ 1,421억
2024.3Q 27,997억/ 2,880억/ 2,185억
2024.2Q 23,668억/ 3,323억/ 3,323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5억
- 연기금 : +9억
- 사모 : +5억
- 투신 : +4억
- 은행 : 0억
- 금융투자 : 0억
- 기타금융 : -1억
- 보험 : -1억
📌 외국인 : +15억

✅ 하이젠알앤엠(+25.9%)
❗️ 238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1,579억
시가총액 : 1.4조
- 현재가 : 45,95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차세대 모터의 희망을 품은 하이젠알앤엠: 로봇 혁신의 물결 속으로
- 하이젠알앤엠은 산업용 모터와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2024년 매출액 75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매출의 79.4%는 범용모터에서 발생하며, 주요 제품은 펌프, 팬, 컴프레셔 등에 사용됩니다.
- 로봇 산업 성장과 함께 액추에이터 기술이 핵심으로, 하이젠알앤엠의 역할이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 휴머노이드 발전은 모바일 베이스와 데이터 기반 제어로 액추에이터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 하이젠알앤엠은 스마트 제조, 국방, 우주 모빌리티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 국내 로봇 업체들은 글로벌 경쟁력 부족이지만 하이젠알앤엠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출처 : 하나증권/SK증권/DS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75%
유보율 : 404%
PBR : 12.58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182억/ -24억/ -24억
2024.4Q 194억/ -9억/ -13억
2024.3Q 188억/ -4억/ -2억
2024.2Q 183억/ 3억/ 3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83억
- 사모 : +54억
- 연기금 : +15억
- 투신 : +11억
- 금융투자 : +2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0억
📌 외국인 : +134억

✅ HDC(+4.0%)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62억
시가총액 : 1.4조
- 현재가 : 23,45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HDC, 통영에코파워로 새롭게 도약하다! 주가 상승 기대감 UP!
- HDC의 1분기 매출은 1.57조 원, 영업이익은 1548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2%, 104.8% 증가했습니다.
- 통영에코파워의 실적이 두드러졌으며, 1분기 매출 2081억 원과 영업이익 58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올해는 통영에코파워의 상업운전 효과로 가파른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향후 3~4년간 HDC현대산업개발의 실적 성장과 투자 부동산 개발이익 증가가 예상됩니다.
-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HDC의 배당 여력 확대와 투자 매력도가 상승할 전망입니다.
(출처 : 한화투자증권/iM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46%
유보율 : 1,495%
PBR : 0.28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7,257억/ 1,408억/ 980억(E)
2025.1Q 15,657억/ 1,548억/ 1,095억
2024.4Q 17,200억/ 920억/ 886억
2024.3Q 15,692억/ 929억/ 683억
2024.2Q 15,403억/ 842억/ 842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8억
- 투신 : +6억
- 연기금 : +6억
- 금융투자 : +1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1억
- 사모 : -6억
📌 외국인 : -3억

✅ 더블유게임즈(+13.3%)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391억
시가총액 : 1.3조
- 현재가 : 62,1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2025년 성장의 기틀, 아이게이밍의 질주와 DTC의 확장
- 더블유게임즈의 1분기 매출은 1,620억 원으로 예상보다 저조했지만, 아이게이밍 부문이 73% 성장하며 좋은 전망을 보여줍니다.
- 소셜카지노 부문은 둔화된 성장을 보였지만, 슈퍼네이션의 마케팅 강화로 74%의 급증된 결제액을 기록했습니다.
- DTC 매출 비중이 10.4%로 증가하면서,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영업비용은 마케팅 강화로 인해 8.5% 증가했으나, 장기적으로 플랫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애플의 외부 결제 허용과 AI 기술 도입으로 향후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출처 : 유진투자증권/하나증권/IBK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0%
유보율 : 9,308%
PBR : 0.87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771억/ 626억/ 539억(E)
2025.1Q 1,620억/ 548억/ 458억
2024.4Q 1,558억/ 605억/ 779억
2024.3Q 1,541억/ 595억/ 409억
2024.2Q 1,631억/ 671억/ 671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5억
- 사모 : +32억
- 연기금 : +6억
- 금융투자 : +0억
- 은행 : 0억
- 보험 : -2억
- 기타금융 : -4억
- 투신 : -16억
📌 외국인 : +39억

✅ 효성(+5.4%)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90억
시가총액 : 1.2조
- 현재가 : 71,9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효성의 깜짝 실적과 주주 충실의무, 그리고 미래 전망
- 효성은 2025년 1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하며, 효성화학의 회계처리 변경과 자회사 실적 개선이 주요 원인입니다.
- 효성화학은 특수가스사업부 매각으로 흑자 전환했으며, 비나케미칼 지분 담보로 3,800억원 자금 조달을 추진 중입니다.
- 효성중공업과 효성티앤에스 등 자회사의 실적 개선으로 최악의 상황을 지났다고 판단되며, 배당금은 최소 주당 3,000원이 예상됩니다.
- 경영자의 주주 충실의무 강화 법안이 논의 중이며, 이는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대리인 비용을 줄이고 지배구조 개선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 특히 지주회사인 효성은 이러한 법 개정으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 iM증권/대신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77%
유보율 : 8,646%
PBR : 0.37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5,825억/ 497억/ -(E)
2025.1Q 5,539억/ 818억/ 722억
2024.4Q 7,101억/ 1,295억/ 1,261억
2024.3Q 5,777억/ 474억/ 3,396억
2024.2Q 5,643억/ 382억/ 382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9억
- 연기금 : +8억
- 사모 : +6억
- 금융투자 : +2억
- 보험 : +1억
- 투신 : +0억
- 기타금융 : +0억
- 은행 : 0억
📌 외국인 : 0억

✅ 코오롱인더(+17.4%)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402억
시가총액 : 1.1조
- 현재가 : 39,15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2025년, 아라미드 산업의 반등 신호와 성장 모멘텀 확대
- 2025년 2분기를 기점으로 아라미드 섬유 업황이 회복되며 실적 모멘텀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5.0조 원, 영업이익은 1,629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3.3%입니다.
- 아라미드 글로벌 공급 부담이 완화되면서 시장 사이클이 회복 중입니다.
- 화학 부문은 약 7년 만에 최대 분기 이익을 기록하며 긍정적 실적을 보였습니다.
- 타이트한 수급 환경과 계절적 수요로 PET 타이어 코드 영업이익이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 고부가 제품 중심의 화학 사업과 필름 JV 설립으로 2025년 영업이익이 5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하나증권/유안타증권/신한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95%
유보율 : 1,641%
PBR : 0.24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13,206억/ 625억/ 353억(E)
2025.1Q 12,316억/ 269억/ 198억
2024.4Q 12,983억/ 358억/ 507억
2024.3Q 10,995억/ 329억/ -43억
2024.2Q 12,840억/ 594억/ 594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5억
- 연기금 : +14억
- 금융투자 : +7억
- 보험 : +2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사모 : -2억
- 투신 : -5억
📌 외국인 : +13억

✅ 아난티(+8.1%)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217억
시가총액 : 1.0조
- 현재가 : 11,33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29%
유보율 : 4,345%
PBR : 0.6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573억/ -32억/ -58억
2024.4Q 703억/ 12억/ -111억
2024.3Q 872억/ 157억/ 109억
2024.2Q 704억/ -59억/ -59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1억
- 사모 : +12억
- 금융투자 : +3억
- 투신 : +1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0억
- 연기금 : -4억
📌 외국인 : +7억

✅ 유안타증권(+3.8%)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53억
시가총액 : 7,355억
- 현재가 : 3,685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988%
유보율 : 55%
PBR : 0.33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7,637억/ 129억/ 91억
2024.4Q 7,070억/ 226억/ 111억
2024.3Q 6,723억/ 182억/ 209억
2024.2Q 5,953억/ 119억/ 119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억
- 금융투자 : +3억
- 연기금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투신 : 0억
- 사모 : 0억
- 보험 : 0억
📌 외국인 : +6억

✅ 펌텍코리아(+0.7%)
❗️ 역사적 신고가 다시 돌파
거래대금 : 24억
시가총액 : 7,291억
- 현재가 : 58,8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펌텍코리아, K-뷰티 글로벌 확장과 함께 최대 실적 경신!
- 펌텍코리아는 1분기 매출 917억원, 영업이익 134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K-뷰티의 글로벌 진출 확대로 매 분기 실적이 상승하며, 국내 용기 점유율 1위로 동반 성장 중입니다.
- 향후 신공장 준공과 수주 증가로 2026년까지 견조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 특히 펌프와 튜브 사업부는 각각 22%와 17% 매출 증가를 보이며 고객사별로도 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고객 다양화와 자동화 생산 확대로 수익성 유지에도 성공하며, 앞으로도 실적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출처 : 한화투자증권/교보증권/미래에셋증권/하나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29%
유보율 : 4,267%
PBR : 2.2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983억/ 146억/ 112억(E)
2025.1Q 917억/ 134억/ 115억
2024.4Q 899억/ 130억/ 127억
2024.3Q 852억/ 124억/ 100억
2024.2Q 855억/ 127억/ 127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0억
- 보험 : 0억
- 금융투자 : 0억
- 투신 : 0억
- 사모 : -2억
📌 외국인 : +3억

✅ 인카금융서비스(+3.6%)
❗️ 역사적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56억
시가총액 : 6,767억
- 현재가 : 13,17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383%
유보율 : 3,195%
PBR : 2.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2,237억/ 239억/ -(E)
2025.1Q 2,301억/ 211억/ 157억
2024.4Q 2,007억/ 184억/ 137억
2024.3Q 2,351억/ 284억/ 208억
2024.2Q 2,104억/ 210억/ 210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4억
- 사모 : +4억
- 금융투자 : +0억
- 투신 : 0억
- 보험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0억
📌 외국인 : -18억

✅ 현대무벡스(+3.2%)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76억
시가총액 : 6,034억
- 현재가 : 5,12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AI와 로보틱스로 무장한 스마트 물류의 선두주자, 현대무벡스
- 인건비 상승과 인력부족으로 자동화 투자는 이제 필수입니다.
- 현대무벡스는 물류자동화 분야에서 23년부터 27년까지 매년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이 회사는 AI와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하여 물류자동화 및 IT서비스를 제공하며, 2017년 현대엘리베이터에서 분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 물류자동화 사업은 다양한 산업군에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며, 승강장안전문 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의 68.4%가 물류자동화에서 발생하며, 승강장안전문과 IT서비스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 현대무벡스는 성장성과 밸류에이션을 갖춘 희소한 로보틱스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출처 : iM증권/신한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0%
유보율 : 1,405%
PBR : 2.45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874억/ 64억/ 65억(E)
2025.1Q 777억/ 52억/ 10억
2024.4Q 1,240억/ 83억/ 162억
2024.3Q 840억/ 73억/ 46억
2024.2Q 726억/ 48억/ 48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0억
- 투신 : +1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0억
- 보험 : 0억
- 금융투자 : 0억
- 사모 : 0억
📌 외국인 : +6억

✅ 클로봇(+11.2%)
❗️ 158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1,753억
시가총액 : 5,325억
- 현재가 : 21,6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로봇 시장의 미래, 우리는 이미 한 발 앞서 있다!
- 동사는 2025년 1분기 매출액 4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7% 성장했습니다.
- 영업손실은 34억 원으로, 적자폭을 20% 줄였습니다.
- 전방 투자 및 연구개발 확대가 수익성에 부담을 주었지만 매출 성장세는 견고합니다.
-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은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보여줍니다.
- 향후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성과가 기대되며,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예상됩니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24%
유보율 : 342%
PBR : 8.39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49억/ -34억/ -30억
2024.2Q 77억/ -23억/ -22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0억
- 투신 : +1억
- 보험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0억
- 금융투자 : -3억
- 사모 : -8억
📌 외국인 : +99억

✅ 코난테크놀로지(+6.4%)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202억
시가총액 : 5,275억
- 현재가 : 46,00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AI 국가대표의 길: 코난 LLM의 도전과 성공
- 7월, 정부는 AI 국가대표 기업 5곳을 선발하여 최대 3년간 자원을 지원합니다.
- 두 가지 유형으로 선발되며, 코난은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낼 전망입니다.
- 코난은 국내 최초로 공공 기업을 위한 생성형 AI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 2023년, 자체 개발한 코난 LLM을 선보였고, 이어서 추론 모델 ENT-11을 공개했습니다.
- 코난은 AI PC와 B2B 시장 공략을 위해 TG삼보와 협력하고 RAG-X 모델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출처 : 유안타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27%
유보율 : 134%
PBR : 14.6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41억/ -40억/ -39억
2024.4Q 138억/ 13억/ 14억
2024.3Q 37억/ -48억/ -47억
2024.2Q 63억/ -44억/ -44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15억
- 사모 : +10억
- 금융투자 : +5억
- 투신 : 0억
- 보험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연기금 : 0억
📌 외국인 : -3억

✅ NHN KCP(+5.5%)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48억
시가총액 : 5,233억
- 현재가 : 13,030원
📊 최근 애널리스트 리포트 요약
📌 NHN KCP, 신사업 꽃피울 수 있을까? 자사주 매입과 함께 반등 기대
- NHN KCP는 2025년 1분기 PG 총 거래대금 12.3조 원, 매출 2,863억 원을 기록했으나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습니다.
- 국내 가맹점 거래액은 계절적 비수기와 일부 거래액 이탈로 10.6조 원에 그쳤지만, 해외 가맹점 거래액은 1.7조 원으로 선전했습니다.
- 오프라인 매출은 한국신용카드결제 연결 효과로 전년 대비 148.5% 증가한 24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자사주 매입 발표로 주가는 8.2% 상승하며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 목표주가는 1.3만 원으로 유지되며, 견조한 실적과 함께 단기 업사이드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카드사 협상력과 마진 압박 이슈로 인해 밸류에이션 제한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출처 : 교보증권/키움증권/신한투자증권)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00%
유보율 : 1,444%
PBR : 1.09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2,976억/ 116억/ 108억(E)
2025.1Q 2,811억/ 109억/ 99억
2024.4Q 2,888억/ 122억/ 131억
2024.3Q 2,724억/ 88억/ 80억
2024.2Q 2,759억/ 117억/ 117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0억
- 연기금 : +3억
- 금융투자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투신 : 0억
- 사모 : 0억
- 보험 : -4억
📌 외국인 : 0억

✅ 제주은행(+20.9%)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459억
시가총액 : 5,231억
- 현재가 : 13,84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191%
유보율 : 266%
PBR : 0.41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912억/ 13억/ 29억
2024.4Q 932억/ 10억/ 10억
2024.3Q 984억/ 32억/ 32억
2024.2Q 924억/ 19억/ 19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억
- 연기금 : +3억
- 투신 : +0억
- 사모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0억
- 금융투자 : 0억
📌 외국인 : -11억

✅ 이엔에프테크놀로지(+11.8%)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98억
시가총액 : 5,058억
- 현재가 : 35,40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79%
유보율 : 5,477%
PBR : 0.88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1,578억/ 215억/ 141억
2024.4Q 1,220억/ 153억/ 27억
2024.3Q 1,664억/ 199억/ 120억
2024.2Q 1,509억/ 166억/ 166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22억
- 보험 : +7억
- 연기금 : +6억
- 사모 : +6억
- 투신 : +2억
- 금융투자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외국인 : +16억

✅ 현대차증권(+3.3%)
❗️ 52주 신고가 신규 돌파
거래대금 : 71억
시가총액 : 5,021억
- 현재가 : 8,12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826%
유보율 : 325%
PBR : 0.2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4,254억/ 271억/ 193억
2024.4Q 6,341억/ 76억/ 3억
2024.3Q 2,521억/ 146억/ 107억
2024.2Q 4,355억/ 194억/ 194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0억
- 금융투자 : +0억
- 연기금 : +0억
- 투신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보험 : 0억
- 사모 : 0억
📌 외국인 : -5억

✅ 아세아시멘트(+7.3%)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8억
시가총액 : 4,907억
- 현재가 : 13,14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96%
유보율 : 5,485%
PBR : 0.34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2Q 2,625억/ 356억/ 240억(E)
2025.1Q 2,205억/ 100억/ 11억
2024.4Q 2,950억/ 228억/ 107억
2024.3Q 2,460억/ 284억/ 166억
2024.2Q 3,065억/ 569억/ 569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5억
- 보험 : +2억
- 투신 : +1억
- 연기금 : +1억
- 사모 : +0억
- 금융투자 : +0억
- 은행 : 0억
- 기타금융 : 0억
📌 외국인 : 0억

✅ 다날(+13.8%)
❗️ 52주 신고가 돌파 이어감
거래대금 : 1,813억
시가총액 : 4,840억
- 현재가 : 7,020원
📊 주요지표
부채비율 : 139%
유보율 : 723%
PBR : 0.6배
📊 최근실적(매출/영업익/순익)
2025.1Q 567억/ 23억/ -25억
2024.4Q 565억/ -62억/ 80억
2024.3Q 682억/ 55억/ -1억
2024.2Q 675억/ -7억/ -7억
📊 당일 기관수급 요약
📌 기관합계 : +36억
- 사모 : +35억
- 금융투자 : +1억
- 은행 : 0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