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리포락셀액(파클리탁셀)의 품목허가사항 변경신청 (유방암 신규 적응증 추가를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신청)
* 주요내용
1) 품목명 : 리포락셀액(파클리탁셀)
2) 대상질환명(적응증) :유방암(재발성 또는 전이성 HER2 음성 유방암)
3) 품목허가 신청일 및 허가기관
① 신청일 : 2025년 04월 29일
② 품목허가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임상시험 관련 사항
① 임상시험 등록번호 : 제10631호
② 임상시험 실시방법 :
- 제2/3상 임상시험
- 2상 : 다기관, 공개, 단일군 임상시험
- 3상 : 다국가, 다기관, PROBE(전향적, 무작위배정, 공개, 눈가림, 변수)임상시험
③ 임상시험 결과
1) 2상
[유효성]
PPS(프로토콜을 준수한 대상자, Per Protocol Set)에 포함된 대상자 중 연구자가 평가한 ORR(객관적 반응률, Object Response Rate)은 54.55%(18/33명)로 확인하였다. 독립적인 중앙 검토로 평가한 결과, ORR은 연구자의 결과와 일치했지만 SD(안정병변,Stable Disease)와 PD(질병진행, Progressive Disease)에서는 각각 2명의 피험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T 스캔 이미지를 기반으로 종양 병변을 측정할 때 표준화된 절차를 준수하여 평가되었지만, 평가자의 이미지 판독 환경이나 주관적인 판단 기준의 차이로 인해 평가자 간 오류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비무작위 종양 임상 연구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한 연구에서도 평가자 간 동일한 불일치가 확인되었으며, 종양 측정의 차이, 표적 병변의 선택, 비표적 병변 분석의 차이 등 주관적인 요인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발생한 BOR(최상의 전반적 반응,Best Overall Response) 평가자 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PPS(프로토콜을 준수한 대상자, Per Protocol Set)에 포함된 대상자 중 PFS(무진행생존, progression-free survival)는 중앙값 9.230개월, OS(전체 생존기간, Overall Survival)는 중앙값 30.550개월, TTF(치료 실패까지의 기간, Time to treatument filure)는 중앙값 7.950개월로 확인되었다. DCR(질병조절률, Disease Control Rate)과 CBR(임상적 유효 반응률, Clinical Benefit Response rate)은 각각 87.88%와 66.67%로 나타났다. 마지막 방문 시 EQ-5D-3L(삶의질 평가)의 평균(SD) 지수 점수는 0.821(0.1327)이었으며, 평균(SD) -0.037(0.1295)의 기준선에서 변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모든 대상자에서 TEAE(투약 후 발생한 이상 사례,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가 발생했으며, 3등급 이상의 TEAE는 86.11%(31/36명)의 대상자에서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AE(경미한 이상 반응, Adverse Event)는 일반적으로 파클리탁셀 투여 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 있었다.
2) 3상
[유효성]
PPS(Per-Protocol Set)에서의 연구자 평가한 무진행 생존기간(PFS)는 IV 파클리탁셀에 비해 DHP107의 비열등성을 입증하였다. 중앙값 PFS는 DHP107 그룹에서 10.020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에서 8.540개월이었고, 계층화 위험 비율(HR)의 95% CI(신뢰 구간)은 0.869 [0.707(하한값), 1.068(상한값)]였으며, 95% CI(신뢰 구간)의 상한은 비열등성 마진 1.33보다 낮아 비열등성을 입증하였다.
PPS(Per-Protocol Set)에서의 BICR(독립적 영상평가)이 평가한 무진행 생존기간(PFS)는 연구자 무진행 생존기간(PFS)평가와 일치하였고, BICR에서 평가한 중앙값 PFS는 DHP107 그룹에서 9.720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에서 9.030개월이었으며, 층화된 위험 비율 [95% CI]은 0.894 [0.719, 1.112]이였다.
연구자와 BICR(독립적 영상평가)이 FAS(Full Analysis Set)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도 PPS를 사용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연구자가 FAS(Full Analysis Set)를 위해 평가한 PFS는 DHP107 그룹에서 9.460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에서 8.540개월이었으며, 계층화된 위험 비율[95% CI]은 0.872 [0.710, 1.071]로 나타났으며, FAS에 대한 BICR의 평가의 중앙값 PFS는 DHP107 그룹에서 9.430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에서 9.030개월이었으며, 층화된 위험 비율[95% CI]은 0.910 [0.732(상한값), 1.130(하한값)]이였다.
2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OS(전체 생존기간), ORR(객관적 반응률), DCR(질병 통제율), TTF(치료 실패까지의 시간), EQ-5D-3L(삶의질 평가)에서 리포락셀액은 파클리탁셀 주사제에 비해 비열등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PPS(Per-Protocol Set)에서 연구자가 평가한 DHP107 그룹의 객관적 반응률(ORR)은 45.80%, IV 파클리탁셀 그룹은 39.69%였으며, DCR(질병 조절률)은 DHP107 그룹 93.51%, IV 파클리탁셀 그룹 86.38%였다. BICR(독립적 영상평가)에서 DHP107 그룹의 ORR은 54.20%, IV 파클리탁셀 그룹은 45.53%였고, DCR(질병 조절률)은 DHP107 그룹 93.13%, IV 파클리탁셀 그룹 85.21%였다. FAS(Full Analysis Set)에서도 결과는 PPS(Per-Protocol Set)와 유사하며, ORR(객관적 반응률)과 DCR(질병 조절률) 모두 DHP107 그룹이 더 좋은 경향을 보였다. OS(전체 생존 기간)에서는 PPS에서 DHP107 그룹의 중앙값 OS(전체 생존 기간)가 32.95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은 32.46개월이었으며, 위험비[95% CI]는 0.979 [0.769, 1.246]로 비열등한 경향을 보였다. FAS에서의 OS(전체 생존 기간) 관련 DHP107 그룹은 32.62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은 31.80개월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계층화 위험 비율(HR)의 95% CI(신뢰 구간)은 0.967 [0.762(하한값), 1.227(상한값)]이였으며,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비열등 경향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FAS에서의 TTF(치료 실패까지의 시간)에서는 DHP107 그룹은 7.62개월, IV 파클리탁셀 그룹은 7.43개월로 차이가 없었으며, 비열등한 경향을 보였다. 삶의 질(QoL)에서는 EQ-5D-3L 지수 점수, EQ-VAS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안전성]
DHP107은 임상적으로 내약성이 있고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TEAEs(DHP107 그룹 97.83% 대 IV 파클리탁셀 그룹 96.58%)와 ADRs(96.03% 대 91.63%)의 발생률은 두 그룹 간에 비슷하였다. 3등급 이상의 TEAEs(77.26% 대 47.53%)와 ADRs(74.73% 대 41.83%)는 IV 파클리탁셀 그룹에 비해 DHP107 그룹에서 더 높은 비율로 발생했으나 용량 연구 중단을 초래한 TEAEs(12.27% 대 8.75%)와 ADRs(10.47% 대 7.22%)는 두 그룹 모두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또한 사망에 이르게 한 TEAEs(1.08%/3명 대 1.90%/5명)와 ADRs(1.08%/3명 대 0.76%/2명)의 발생률이 매우 낮았다.
5) 향후 계획
품목허가 후 해외 라이센스아웃(License Out)을 위한 최적의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진행할 계획입니다.
|